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by GISEN 2020. 12. 10.
728x90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올해 상반기에 찢어지거나 손상된 돈이

약 2조 7천억원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2012년 통계발표 이후 최대 금액이라고 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소독해야 된다고 해서 지폐를 전자레인지나

세탁기에 넣고 돌려서 지폐가 타거나 찢어지는

사례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이렇게 회손된 지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새돈으로 바꿀수 있을까요?

아니면 외국돈이나 각종 상품권들은 회손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폐의 경우 남은 면적에 따라서 교환금액이 정해진다고합니다.

 

75% 이상일 경우 전액 새 지폐로 교환 가능

40%이상 75%미만일 경우 절반만큼 교환 가능

40%미만일 경우는 교환 불가

라고 합니다.

 

여러조각으로 찢어진 걸 이어 붙인것도 면적에 인정해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같은 1장에서 나온 조각이 맞는지는 확인하는 절차를 걸쳐야 한다고 합니다.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물에 젖은경우 말리면 되지만 화재로인해 불에 탄 건 어떻게 될까요?

 

불에 탄 지폐는 주의해야 할것은 지폐 재를 털면 안됩니다.

지폐의 탄 재까지 면적으로 인정해 주기 때문에 최대한 원형상태를 

유지한 채로 조심히 가져가야 합니다.

 

화재로 인해 거액이 불에 탄경우에는 경찰서나 소방서의 화재 발생 증명서를

발급받아서 함께 은행에 제출하면 교환금액을 판정하는데 참작이 될수있습니다.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찍어져서 테이프를 바른 정도의 가벼운 손상이면 동네 은행에 가면 교환을 해주는데

남은 면적이 몇 퍼센트인지 판정하기 애매하거나 손상정도가 심한 지폐는

각 지역별로 있는 한국은행 본부로 방문 해야 된다고 합니다.

 

한국은행에서는 남은 지폐면적을 자로 측정하거나 보통 육안으로 확인하지만

그것으로 판단하기 힘들경우 기계로 감별하거나 조폐공사로 보내서

조사를 의뢰한다고 합니다.

회손이 너무 심하거나 일련번호 홀로그램 모두 확인이 힘든 경우에는 교환이 불가능

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미국 달러나 다른 외국돈이 찍어지거나 회손되면 어떻게 될까요?

 

이럴경우 굉장히 복잡한데, 일단 한국에서 손상된 외국지폐를 새지폐로 바꾸는건

거의 불가능 하다고 합니다.

 

사실 각 은행들은 환전해주는 외국돈들은 가게에서 파는 물건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구매하고 판매하는 개념으로 보면 되는거죠.

 

하지만 누가봐도 사용하는데 이상이 없을 것 같은 아주 미세한 회손이 있는 경우는

한국 돈으로 교환을 해준다고 합니다.

일반은행에서 외국 지폐가 창구에 들어오면 돈 세는 계수기에 돌리는데 이 계수기계가

위폐감별도 하기 때문이다.

그랙서 계수기에 인식될 경우도 한국 돈으로 교환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하지만 회손이 심할경우 각자 알아서 해결해야 된다고 합니다.

해당 국가 발권은해응로 그 돈의 실물을 보내서 직접 가치를 인정 받아야한다고 합니다.

개인이 하기 힘들기 때문에 해외지폐추의라고 하는 과정을 하나은행에서 해준다고 합니다.

각 국가마다 교환 규정이 다르고, 결정나기까지 한달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교환여부가 결정되면 하나은행 계좌로 전액이 다 입금되는게 아니라

중계업무 수수료를 15%정도를 제외한 금액이 입금된다고 합니다.

 

찢어진 지폐, 상품권 교환 방법

 

각종 백화점상품권, 주유상품권, 도서상품권은 어떨까요?

 

상품권들은 대부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정한 상품권 관련 약관이 있기때문에 

발행자와 금액이 확인되면 대부분 재발급 해준다고 합니다.

다만 회손이 심할경우 전액 다 못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상품권 지폐와 다르게 면적보다 중요한게 상품권 일련번호라고 합니다.

일련번호는 한쪽에만 적혀있는게 아니라 양쪽에 적혀 있기 때문에

둘중 하나만 확인 되면 이미 사용된게 아니라면

면적에 따라서 교환 금액이 결정되는데

이 면적은 상품권 마다 좀 차이 가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행과 똑같은 기준을 하는 곳도 있고

무조건 60%이상이여야 하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상품권의 경우 상품권 판매점으로 가서 교환 하면 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3단계 미용실 이용 가능 할까요?  (0) 2020.12.14
LH 청약센터, 공공 전세란?  (0) 2020.12.13
수도유보금이란?  (0) 2020.12.09
인천 서구 출산 지원 정  (0) 2020.12.06
파파이스 철수  (0) 2020.12.03

댓글